태양광 이론

태양광용량조회

gordio 2022. 7. 15. 17:54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신재생에너지 관련 한전선로 접속가능용량 조회방법에 대하여 태양광을 기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제일먼저 태양광을 설치하고자 계획이 세워지면 한전선로 접속가능 여부에 대하여 확인을 제일 먼저하여야 합니다.

해당 번지의 조회는 한전 사이버지점

통합포털에서 아래와 같이 조회합니다.

(별도 회원가입 절차없이 주소만 입력

하면 누구나 조회 가능합니다.)

 

한전사이버지점 신재생에너지 접속가능용량 조회화면

조회방법은 주소나 한전전주의 번호찰로 조회가능합니다.

주소에 의한 조회

 

전산화번호에 의한 조회

참고로 전산화번호는 사업소단위로 무작위로 부여한 번호가 아니고 국토지리원의 지리정보시스템을 근거하여

부여한번호로 한전의 전주번호찰 전산화번호 8자리만 알면 전국 어디든 정확한 위치확인이 가능한 중요한

좌표계입니다.

소방관서에서도 한전의 본 전주번호찰 전산화번호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산간오지나 번지수 확인이 안되는 지역에서 긴급재난요청시 소방관서에 한전 전산화번호를 알려주면 바로

위치추적이 가능하여 출동이 빨라질 수 있습니다.

 

전주번호찰은 태양광을 설치하고자 하는 인근 한전전주의 전주번호찰을 확인하여 조회하시면 됩니다.

조회결과 화면입니다.

위 사진은 변전소, 주변압기, 배전선로가 모두 용량초과되어 현재는 접속이 불가한 사항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여기서 #1 주변압기에 대하여 알아보면 변전소에는 보통 3~4기의 주변압기가

설치되어 운전됩니다.

(즉 #1변압기, #2변압기,#3변압기,

#4변압기)

배전용변전소 주변압기 한대의 용량은 냉각방식에 따라 상향조정이 가능하지만 통상 50,000kVA (50MVA 즉 5만) 변압기입니다.

이러한 변압기가 4대가 설치되어

운전되니

변전소 전체용량은 20만 kVA 입니다.

위 사진에서는 변전소 용량을 226,000kW 으로 기준했고

#1 주변압기 용량은 56,000kW로

산정했습니다.

배전선로 기준용량은 보통 일반선로의 경우 10,000kw, 대용량선로의 경우 15,000kw 이지만

가동중인 태양광의 발전용량이 설비대비 70~80%수준이어서 배전선로의 접속가능용량을 상향조정하여 일반선로는 12,000~13,000kw, 대용량선로는 18,000~19,000kw 로 산정하여

연계접속합니다.

접수된 고객의 경우 현재의 순번상황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참고사항으로 관련용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변압기 누적연계용량

해당 주변압기에서 공급되는 특고압

공용선로 및 전용선로에 역송병렬 형태로 연계된 모든 분산형전원

(기존 연계된 분산형전원과 신규로 연계 예정인 분산형전원 포함)과

전용변압기(상계거래용 변압기 포함)를 통해 저압계통에 연계된

모든 분산형전원 연계용량의

누적 합을 말한다.

특고압 공용선로 누적연계용량

해당 특고압 공용선로에 역송병렬 형태로 연계된 모든 분산형전원(기존 연계된 분산형전원과 신규로 연계 예정인 분산형전원 포함) 과 해당 특고압 공용선로에서 공급되는 전용변압기(상계거래용

변압기 포함)를 통해 저압계통에 연계된 모든 분산형전원 연계용량의

누적 합을 말한다.

배전용변압기 누적연계용량

해당 배전용변압기(주상변압기 및 지상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저압 공용선로 및 전용선로에 역송병렬 형태로 연계된 모든 분산형전원(기존 연계된 분산형전원과 신규로 연계 예정인 분산형전원 포함) 연계용량의 누적 합을 말한다.

저압 공용선로 누적연계용량

해당 저압 공용선로에 역송병렬 형태로 연계된 모든 분산형전원(기존 연계된 분산형전원과 신규로 연계 예정인 분산형전원 포함) 연계용량의 누적 합을 말한다.

한전사이버지점 메인 (kepco.co.kr)

태양광관련 문의는 댓글 달아주시면 성심껏 답변드리겠습니다.

 

반응형